개발자노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개발자노트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James (134)
    • IT (123)
      • 프로그래밍 (119)
      • 기록 혹은 팁 (4)
      • 트러블 슈팅 (0)
      • 메모 (0)
    • Contact (0)
    • 에세이 (11)

검색 레이어

개발자노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IT/프로그래밍

  • 웹 프로토콜 동작 원리

    2015.12.06 by James Lee.

  • URL 구조 분석

    2015.12.06 by James Lee.

  • Spring 기본 세팅, 기본 출력, doPost, doGet메소드

    2015.12.01 by James Lee.

  • [리팩토링] 레거시 코드 리팩토링 예제

    2015.12.01 by James Lee.

  • [TDD] TDD로 SoundEX개발하기 첫번째

    2015.12.01 by James Lee.

  • BBD란 무엇인가

    2015.12.01 by James Lee.

  • [Linux] 리눅스 기초 명령어

    2015.12.01 by James Lee.

  • Servlet과 JSP, 그리고 동적인 웹 페이지

    2015.12.01 by James Lee.

웹 프로토콜 동작 원리

웹 프로토콜 동작 원리URL과 HostName의 차이 - URL : 주소창에 입력되는 전체 문자열 - HostName : URL 구조중 일부 (protocol://hostname[:port]/*.htmlDNS- HostName을 IP로 바꿔줌페이지 동작원리- Google.co.kr을 예로 들어 설명 - Google.co.kr을 주소창에 입력 - DNS에서 해당 HostName을 IP(google.co.kr -> 173.194.127.56)로 변환 - TCP Connect에 IP와 PortNumber(8080)을 파라미터로 넘겨줌 - TCP Socket으로 요청 (request) - 해당 서버에서 response를 받아옴 - HTTP Close로 연결 종료 Request Header 요청 보기개발자 도구 ..

IT/프로그래밍 2015. 12. 6. 19:46

URL 구조 분석

URL 구조 정리넷스루 블로그에 자세하게 설명되있어서 참고하였다.URL이란? 브라우저의 주소 표시줄에 있는 String으로Uniform Resource Locator(획일화된 자원의 위치 탐지기)의 약자이다.파일에 대한 인터넷 상의 고유 주소를 의미한다. 우리는 이 URL을 통하여 웹 페이지, 이미지, 동영상, 사운드 파일 등의 자원을 찾을 수 있다. 실제 존재하는 URL의 구조를 분석해보자.http://jungfrau.co.kr/community/bbs.asp?dsPageType=3&dsBbsAdmin=10&dsCategory=4URL의 구조 순서프로토콜웹 서버경로파일 이름쿼리프로토콜http://웹에서 페이지나 파일에 접근하는데 사용되는 메소드 (메소드? Class에 있는 메소드를 말하는 건가? 아니면..

IT/프로그래밍 2015. 12. 6. 19:45

Spring 기본 세팅, 기본 출력, doPost, doGet메소드

Dynamic Web Project 생성한다.Spring Suite 실행 후 File(단축키 : Shift + Alt + N) - Dynamic Web Project Server 오픈해서 포트번호 확인Servers 탭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 Open을 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온다.bio.http.port가 포트이고 8080이 기본 포트번호이다.Web.xml 생성WEB-INF폴더의 하위에 web.xml을 생성한다.단축키 : ctrl + N을 누르면 XML폴더 밑에 있다. 서블릿 매핑아래와 같은 기본 내용을 작성한다.사용자가 에 정해져있는 url을 입력하면 서블릿은 과 사이에서 이 동일한 지점으로 간다.그리고 해당 아래의 에 있는 위치의 클래스를 실행한다. 서블릿 클래스 생성서블릿 클래스를 작성..

IT/프로그래밍 2015. 12. 1. 12:55

[리팩토링] 레거시 코드 리팩토링 예제

실습 1. Homeguard기존에 작성된 Legacy Code인 홈가드의 메소드 중 하나인 getSensorMessage를 외부 동작을 바꾸지 말고 리팩토링 해라 (Depency Breaking)getSensorMessage 메소드는 CentralUnit클래스에 있는 것이 맞을까? public String getSensorMessage(Sensor sensor) { String message = "default"; if (!sensor.isTripped()) { if (sensor.getType().equals(Sensor.DOOR)) return sensor.getLocation() + " is closed"; else if (sensor.getType().equals(Sensor.WINDOW)) re..

IT/프로그래밍 2015. 12. 1. 12:54

[TDD] TDD로 SoundEX개발하기 첫번째

SoundEx 개발, Git로 버전관리 TDD의 단계실패하는 테스트 코드 작성 (말그대로 실패하는 코드)실패하는 테스트 코드를 가장 간단하게 통과 (간단하지만 수단을 가리지 않고 통과되도록)Refactoring(코드구조개선)으로 설계 개선Intergration(통합, Git에서 commit을 의미, remote 저장소가 있는 경우에는 git push 까지를 의미함) (git에서 관련 폴더들 add후 commit, 편집기 창에 어떤 작업을 했는지 표시, 이후 git log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음)Eclipse 에서 SoundEx Java Project 를 생성하기Eclipse 에서 단축키(Alt+Shift+N)를 눌러 Project 생성 창을 띄운다.프로젝트 목록 창에서 Java Project 를 선택한..

IT/프로그래밍 2015. 12. 1. 12:53

BBD란 무엇인가

아래 블로그들을 참고해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다. 원글 : http://dannorth.net/introducing-bdd/번역글 : http://blog.jaigurudevaom.net/319Introducing BDD (Behaviour Driven Development)이 글은 댄 놀쓰(Dan North)가 2006년 3월에 Better Software 에 기고한 Introducing BDD 의 번역입니다. (번역 : 이홍주) 문제가 있었다...blog.jaigurudevaom.net As a, I want, So that조직 안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스토리 템플릿 X로 하여금 (As a)Y를 원한다 (I want)Z를 얻기 위하여 (So that) 이것을 시나리오로 변환하면 조건이 주어진다. (..

IT/프로그래밍 2015. 12. 1. 12:47

[Linux] 리눅스 기초 명령어

ls : 파일 리스트 보기 cd : 디렉토리 변경 # cd .. (상위디렉토리로 감) # cd or cd~ (홈 디렉토리로 감) # cd /path (path경로로 바로 이동)cp (복사) # cp index.html index.old (index.html 화일을 index.old란 이름으로 복사, 변경이 아니라 복사다!) # cp /home/test/*.* (test 디렉토리내의 모든 파일을 현 디렉토리로 복사)mv (이동) # mv index.htm index.html (index.htm 파일을 index.html로 이름 변경, 복사가 아니라 변경이다) # mv file ../main/new_file (file을 해당 경로로 위치 변경한다)mkdir (디렉토리 생성) # mkdir downloadrm..

IT/프로그래밍 2015. 12. 1. 12:46

Servlet과 JSP, 그리고 동적인 웹 페이지

인터넷이 발명된 초기에는 HTML이 주류였다.따라서 대부분의 컨텐츠는 정적으로 이루어졌다.하지만 인터넷의 발전과 상업적 필요성에 따라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정적인 컨텐츠들이 필요해졌다.그래서 사용자들이 요청을 하면 서버에서 동적인 페이지를 만들어서(Servlet에서 html문서를 만든것처럼) 사용자에게 배포해줄 수 있도록 발전되었다.이것이 위에서 설명한 Servlet이다.하지만 이 Servlet이 나오고도 몇가지 불편한 점들이 있었다.Java의 출력문으로 Html문서를 만들므로 가독성이 부족했고 디버깅이 어려웠다.Java 코드와 Html 코드가 뒤섞여 있었다.Java코드와 Html코드가 섞여있으면 어떤 불편함이 있었을까?프로그램은 계속 변화한다는것은 지금까지 경험으로 잘 알고 있을것이다. 과거에도 프로그..

IT/프로그래밍 2015. 12. 1. 12:4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1 12 13 14 15
다음
TISTORY
개발자노트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